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문화생활은 알차게
[칼럼읽기] 동아일보 / 미-중 정찰기구 & 숲과 도시 본문
반응형
주제 1. 미-중 정찰기구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30206/117764397/1
휴지처럼 구겨진 정찰풍선, 눈으로 확인한 美中 신냉전 [횡설수설/이철희]
1960년 미국이 ‘키 홀(Key Hole·열쇠구멍)’이라는 코드네임을 가진 최초의 첩보위성을 운용하기 시작한 것은 정찰기 U-2가 소련군에 격추된 사건 직후였다. U-2기 격추…
www.donga.com
- 제목 : [횡이철희] 휴지처럼 구겨진 정찰풍선, 눈으로 확인한 미중 신냉전
- 필자 : 이철희 논설위원
- 출판 : 동아일보
- 횟수 : 3회
- 감상방법 : 요약 / 단상
요약
- 1960년대(첩보위성의 시대 전까지) 미국은 정찰용 풍선을 '기상 연구'라는 대외적 목적으로 소련과 동구권 감시 역할을 함
- 2월 4일, 미국이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 F-22로 정찰풍선으로 의심되는 비행체를 격추함
- 은밀함이 기본 활동 성격임에도 육안으로 대놓고 '정찰풍선'이 침범한 것에 의구심이 듦. 결정적 증거는 잔해 분석과 장비의 수준을 통해 밝혀질 것
- 이 사건으로 인해 미 국무장관은 중국 방문 취소와 미국 국내에서 중국 때리기 경쟁이 가열되고 있음
단상
미-중 간의 갈등이 '정찰풍선'으로 '의심'되는 비행체로 인해 가열되었음을 한겨레도 동아일보도 동의하고 있다. 한겨레 말마따나, 국제정세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불안정했는데 더 흔들리고 있을 뿐이다. 동아일보의 경우에는 '미-중'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췄다면 한겨레는 그로 인한 '한국'의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출국인 대한민국이 어떻게 대응하냐에 따라 국제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제 2. 숲과 도시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30205/117747470/1
숲은 도시 변화시키는 창조 공간[기고/이강덕]
포항 철길숲이 최근 유엔해비타트 등이 주관한 아시아도시경관상 본상을 수상했다. 폐철도 부지에 녹색 숲을 조성해 만든 철길숲은 여가와 운동, 출퇴근 등 포항시민들이 일상을 보내는 …
www.donga.com
- 제목 : 숲은 도시 변화시키는 창조 공간
- 필자 : 이강덕 포항시장
- 출판 : 동아일보
- 횟수 : 2회
- 감상방법 : 요약
- 포항 철길숲, 아시아도시경관상 본상을 수상
- 포항의 이미지가 용광로와 공장에서 도심속 숲이미지로 탈환
- 철길숲의 8년 역사 소개
-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것은 '녹색 생태계'가 있는 도시
- 도시숲의 장점 나열 (새로운 도시 공간의 창조, 만남의 장소 이용, 도시 미관 창조,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공간)
- 포항 철길숲과 해도 도시숲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외부사업'에 등록된 만큼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음
- 아시아도시경관 수상은 시민참여와 공유, 공감이라는 요소를 높이 평가한 결과물임
반응형
'챌린지 > 칼럼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럼읽기] 중앙 / 이상민 국무위원 탄핵 소추안 & 챗GPT (0) | 2023.02.10 |
---|---|
[칼럼읽기] 경향 / 이상민 국무위원 탄핵 소추안 (0) | 2023.02.09 |
[칼럼읽기] 한겨레/ 난방비 지원 정책 & 미-중 정찰기구 (0) | 2023.02.07 |
[칼럼읽기] 중앙일보 / 조국 전 법무부 장관 & 폐플라스틱 기름 (0) | 2023.02.06 |
[칼럼읽기] 경향 / 이태원 참사 100일 & 조국 전 법무부 장관 (0) | 2023.02.0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