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생활은 알차게

[칼럼읽기] 중앙 / 이상민 국무위원 탄핵 소추안 & 챗GPT 본문

챌린지/칼럼읽기

[칼럼읽기] 중앙 / 이상민 국무위원 탄핵 소추안 & 챗GPT

오리온12 2023. 2. 10. 08:07
반응형

주제1. 이상민 국무위원 탄핵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39294

 

[사설] 첫 국무위원 탄핵소추, 야당과 장관이 초래한 헌정사 오점 | 중앙일보

야 3당이 발의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탄핵소추안이 8일 국회에서 의결됐다. 대통령에 대한 국회 탄핵소추 의결은 두 번 있었지만 국무위원의 경우엔 이번이 처음이다. 야 3당이 탄핵소추안

www.joongang.co.kr

  • 제목 : 첫 국무위원 탄핵소추, 야당과 장관이 초래한 헌정사 오점
  • 필자 : ?
  • 출판 : 중앙일보
  • 횟수 : 3회
  • 감상방법 : 요약 / 단상

요약

  1. 야 3당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탄핵 소추안(형사상의 소를 제기하여 수행하는 것을 말하며 '기소'보다 넓은 개념)을 발의. 국무위원 탄핵소추 의결은 처음임
  2. 국회 해임 건의가 무시당했기에 탄핵을 추진하게 됨. 다만 탄핵 소추는 '직무집행에 있어서 헌법이나 법류 위배'가 전제인데 이같은 전제가 해당되는지에 대해서는 민주당 내에서도 이론이 갈렸음
  3. 탄핵안에 대한 민주당 내 비판 여론과 국민의힘 비판내용 열거
  4. 탄핵 소추안에 이르기까지 정치적 책임을 지지 않는 현실을 만든 여권의 책임도 있음.

단상

경향일보에서는 뚜렷하게 야당의 반대에 초점을 맞춰 작성된 내용이나 중앙일보의 경우는 야당(민주당)의 당내 의견 비판도 작성하고 있다. 다만 나는 '이번 탄핵소추안 의결이 헌정사의 오점이라면 그건 야당과 이 장관 본인이 함께 만든 참사다.'라는 말에 의문을 던진다. 야당이 만든 참사라고 하기에는 여권과 윤석열 대통령의 책임은 어디에 있는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국민들이 납득하지 못할 행보와 발언을 쏟아냈다. 이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여권의 행동도 분명하게 비판받아야 한다. 오갈데 없는 책임이 결국 탄핵을 만든 건, 세월호 사태와 비슷하다. 처참한 죽음에 슬픔, 애도, 분노가 어딜 향할지 생각하게 되는 칼럼이다.

경향신문 이상민 국무위원 탄핵 소추안에 대한 칼럼 읽기

주제 2. 챗GPT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39615#home

 

[김동호의 시시각각] 알파고와 비교 안 되는 챗GPT 충격 | 중앙일보

이용자가 100만 명에 이르는 데 걸린 시간을 보면 현기증이 날 정도다. 챗GPT는 5일 만에 이용자 100만 명을 돌파했다. 법률 상담을 조금만 받아도 큰돈을 내야 하지만, 챗GPT에 물어보면 웬만한 법

www.joongang.co.kr

  • 제목 : 알파고와 비교 안 되는 챗GPT
  • 필자 : 김동호
  • 출판 : 중앙일보
  • 횟수 : 2회
  • 감상방법 : 요약

요약

  1. 대화가 가능한 AI, 챗GPT
  2. 알파고 등장에 대한 회상
  3. 챗GPT 이용자 수 증가가 얼마나 빠른지에 대해 타 앱과 비교하여 체감할 수 있는 자료 제시
  4. 챗GPT의 강점은 '생각을 정리해 주는 능력'을 꼽은 필자
  5. 예시 나열
  6. 챗GPT는 논리적인 의견을 내놓는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있었던 AI와 차별점이 있음
  7. 챗GPT 등장으로 전문직이 위태로워짐
  8. 공약과 발언을 점검할 수 있는 챗GPT, 이를 통해 사건의 진위를 대략 파악할 수 있음
  9. 변화는 피할 수 없는 현 시대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