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생활은 알차게

[칼럼읽기]동아/공항을 위한 국립공원 해제 & IMF 성장전망 본문

챌린지/칼럼읽기

[칼럼읽기]동아/공항을 위한 국립공원 해제 & IMF 성장전망

오리온12 2023. 2. 2. 08:39
반응형

오늘 칼럼내용은 말하기 앞서, 어제 이야기했던 경향신문 주제 흑산 공항을 위한 국립공원 해제 주제를 대표 보수언론인 조선/중앙/동아에서 칼럼 내용을 찾아봤으나 없어 결국 기사 내용만 발췌하여 들고 왔다. 조/중/동에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칼럼을 편집해주길 심심한 바람을 보낸다.

주제 1.  흑산도 공항 건설을 위해 국립공원구역을 해제

https://sports.donga.com/news/article/all/20230201/117686462/2

 

전남도, 다도해 해상국립공원계획 변경안 통과···흑산공항 건설 확정

흑산공항 건설에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공항 예정부지 국립공원 해제를 위한 ‘다도해 해상국립공원계획 변경’ 안이 31일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sports.donga.com

  • 제목 : 전남도, 다도해 해상국립공원계획 변경안 통과...흑산공항 건설 확정
  • 필자 : 양은주 기자
  • 출판 : 스포츠동아
  • 횟수 : 3회
  • 감상방법 : 요약/단상

요약

  1. 공항 예정부지 국립공원 해제를 위해 '다도해 해상국립공원계획 변경'안이 31일 심의 통과함
  2. 흑산공항 부지와 금액 내용('13년째 학수고대한 전남도의 숙원사업'이라고 표현)
  3. 흑산공항이 무산되었던 이유 설명
  4. 전남과 신안군은 흑산도 공항을 위해 '국립공원 대체 편입지역 변경안' 등 다양한 시도를 진행
  5. 17년도에 중지되었던 환경영향평가 재실행
  6.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이동권개선 기대 및 관광사업 금액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작성
  7. 전남도지사의 기대발언 인용

단상

역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동아일보의 경우 흑산공항에 대해 행정의 입장을 대변하는 글과 표현력이 많다. 또한 흑산공항 설계가 시작되면 기대효과에 대해 나열하고 이야기만 보면 흑산도 공항이 무산된 것을 '장애물' '걸림돌'이라고 표현을 한다. 답답한 점은 경향신문 칼럼에서도 이야기했듯, 흑산도에 대체 관광객들이 얼마나 많이 유치가 될 것인가, 또한 현 지역공항 상황을 보았을 때 흑자 운영이 없다는 사실이다. 현재 지방 공항은 적자 운영에 탄소 배출만 내뿜고 있는 상황이다. 지역 주민들의 이동권 개선은 공항이 아니라, 공공시설로 편중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그들은 공항이 없어서 불편한 게 아니라, 버스 노선과 생활시설(병원, 시장, 등)이 집과 멀기 때문에 불편한 것이다. 누가 공항까지 와서 병원에 갔다가 내려가겠는가. 그들에게 진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행정은 눈을 크게 뜨고 봐야 한다.

주제2. IMF 성장전망

https://www.donga.com/news/Opinion/article/all/20230131/117681201/1

 

[사설]‘IMF 성장 전망’ 美中日·EU 다 반등했는데 韓만 3연속 하락

국제통화기금(IMF)이 31일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2%에서 1.7%로 0.3%포인트 낮췄다. 지난해 7월 ―0.8%포인트, 10월 ―0.1%포인트에 이어 벌써 3번째 …

www.donga.com

  • 제목 : ‘IMF 성장 전망’ 美中日·EU 다 반등했는데 韓만 3연속 하락
  • 필자 : ??
  • 출판 : 동아일보
  • 횟수 : 3회
  • 감상방법 : 요약

요약

  1. 국제통화기금(IMF)의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3번 연속 하향 조정하여 1%대로 낮아짐
  2. 세계 경제성장률을 상향조정했는데 한국을 하향한 것에 있어 심각성의 강도를 재고해야 한다
  3. 하락을 이야기할 때 구조적 문제를 들여달 필요가 있음을 알리는 필자
  4. 한국 경제 반등 계기를 찾기 어려운 현 실정(어닝쇼크 : 기업의 실적 발표가 예상치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상황, 혹은 그러한 상황때문에 오는 주가 하락.)
  5. 경제 침체의 출구는 구조개혁과 경제 채질 개선(연구개발, 설비투자, 수출시장 다변화 시도, 제조업 인력난 해소)이 시급함이 필요함을 주장하는 필자
반응형
Comments